본문 바로가기

디지털유산

NFT, 디지털 아트워크 상속 문제와 해결 방안

1. NFT와 디지털 아트워크의 상속이 중요한 이유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는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자산으로, 고유성과 소유권을 기술적으로 보장해 주는 시스템이다. 디지털 아트워크가 NFT화되면, 그림, 사진, 영상, 음원 등 어떤 디지털 창작물이든 그 소유권을 온전히 한 사람에게 귀속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최근 몇 년 사이 NFT 시장은 수조 원 규모로 성장하며, 개인이 보유한 디지털 자산 중 핵심 유산으로 떠올랐다.

하지만 NFT의 특성상, 물리적인 증서나 눈에 보이는 ‘자산’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소유자의 사망 이후, 자산의 존재조차 유족이 인지하지 못하고 영구히 방치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다수의 NFT 플랫폼이나 지갑 서비스는 명확한 상속 절차를 마련해 두지 않았기 때문에, 상속인이 접근할 수 없는 지갑에 NFT가 영구히 잠기거나, 오히려 외부 해커에 의해 탈취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디지털 이미지’ 하나의 손실을 넘어,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에 달하는 실제 자산의 소멸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히 크리에이터 본인이 사망했을 경우, 자녀나 가족이 아트워크의 저작권과 수익권을 잃게 되는 심각한 문제로 연결된다.

NFT, 디지털 아트워크 상속 문제와 해결 방안



2. NFT 지갑의 특성과 상속 어려움
NFT는 블록체인 상에서 특정 지갑 주소에 귀속되며, 이 지갑의 소유권은 해당 프라이빗 키(Private Key, 개인 키) 를 보유한 사람에게만 있다. 즉, 지갑 비밀번호나 프라이빗 키를 알지 못하면 누구도 해당 NFT에 접근할 수 없다. 이는 보안을 철저히 보장한다는 점에서 장점이지만, 상속 측면에서는 법적 소송이나 공문 요청 등으로도 해결할 수 없는 기술적 장벽이 된다.

예를 들어, 메타마스크(Meta Mask)나 트러스트월렛(Trust Wallet) 같은 대표적인 탈중앙화 지갑은 중앙 서버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 본인이 사망했을 경우 지갑 복구 기능조차 제공되지 않는다. NFT 플랫폼도 대부분 “사용자의 책임”이라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사망자 인증이 되더라도 자산 이전이나 접근 권한 부여에 대한 명확한 내부 정책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프라이빗 키나 리커버리 시드를 남기지 않은 채 사망한다면, 고가의 디지털 아트워크는 아무도 되찾을 수 없는 ‘디지털 유령 자산’이 된다. 따라서 NFT를 소유한 사람이라면 생전 반드시 지갑 접근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후속 조치를 사전에 준비해야 한다.



3. NFT 상속을 위한 실질적인 해결 방안
현실적인 NFT 상속을 위해서는 기술적·법적·관리적 수단을 병행해야 한다. 

 

첫째, 지갑 정보(프라이빗 키, 리커버리 시드 등)는 반드시 안전한 비밀번호 관리 앱에 저장하고, 비상 액세스 권한을 자녀에게 설정해 두어야 한다. 1 Password, Last Pass 등의 앱은 마스터 키를 조건부로 공유할 수 있어, 사망 후 자동 전달 설정이 가능하다.

둘째, NFT 상속을 위한 유언장이나 신탁 계약서에 구체적인 지갑 주소, NFT 목록, 상속인을 명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디지털 유언장을 전문적으로 작성해 주는 변호사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실제로 법원에서는 ‘NFT도 상속 대상이 될 수 있다’는 판결을 내린 사례가 존재한다.

셋째, 일부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는 스마트 콘트랙트를 통해 사망 이후 자동 전송이 가능한 기능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사망이 확인되거나 일정 기간 지갑 활동이 없을 경우, 지정한 상속인의 지갑으로 NFT를 이전할 수 있도록 사전 설정하는 방식이다. 다만 이 역시 기술적 이해가 필요한 부분이므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안전하다.

이러한 실질적인 준비를 통해, NFT라는 첨단 디지털 자산도 전통 자산처럼 합법적이고 안전하게 자녀에게 물려줄 수 있는 인프라가 점차 마련되고 있다.



4. 디지털 아트 시장의 변화와 미래 전망
디지털 아트워크와 NFT 시장은 여전히 급속도로 성장 중이며, 이에 따라 디지털 유산으로서의 NFT 자산의 중요성도 날로 커지고 있다. 크리에이터 본인의 작품이 NFT로 발행되어 시장에서 거래되는 경우, 그 수익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유족 입장에서는 하나의 ‘지속 가능한 자산’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요 NFT 플랫폼과 거래소들은 점차 사망자 계정 처리, 상속자 인증 절차, 프라이빗 키 대체 수단 마련 등의 정책 개선을 모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코인베이스(Coinbase), 바이낸스(Binance)와 같은 거래소는 법적 절차에 따른 상속 기능을 일부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외 블록체인 법률 전문 로펌들도 상속 대리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또한, NFT 아트워크를 다루는 크리에이터들도 자신의 작품과 권리를 보다 적극적으로 관리하기 시작했으며, NFT 자산을 ‘문화유산’의 개념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등장하고 있다. 향후에는 NFT 상속을 위한 표준화된 지침, 플랫폼 간 상호 인증 시스템, 법률적 인프라가 확충되며, 디지털 자산 상속이 전통 자산 상속만큼 보편적인 절차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